티스토리 뷰

[JAVA]

[JAVA] java의 식별자 와 데이터형

코딩-noob 2021. 11. 15. 13:10

자바의 경우 크게 2가지의 데이터 형태(Data Type)가 있습니다.

 

-기본-    데이터 형

-참조형- 데이터 형

 

 

기본 데이터형을 자세하게 또 나누게 된다면

-논리형-

-문자형-

-정수형-

-실수형-

으로 분류됩니다.

 

논리형은 (boolean)

문자형은 (char)

정수형은 (byte, short, int, long)

실수형은 (float, double)

의 형태가 있습니다.

 

 

위 그림처럼 분류를 할수 있습니다. 분류를 하는 이유는 각자의 형태에 따라 지정해주지 않으면 자바를 제대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.

 

 

1. 논리형 (boolean)

참(true) 또는 거짓(false)을 표현하는 값을 가집니다.

true , false는 반드시 소문자만 가능하고 아래 두 가지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.

자바는 대소문자 구별을 매우 정확하게 해주어야 합니다.

True, False

TRUE, FALSE

위 그림에서  b1 변수는 적용이 잘된 것을 알 수 있지만 b2, b3는 eclipse에서 빨간줄이 생기며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.

 

 

 

2. 문자형 (char)

char는 반드시 하나의 문자만을 정할 수 있으며 16비트 유니코드 값을 표현합니다.

또한 지켜야 될 조건은 문자 하나를 지정할 때 'a' Single quotes를 사용하여야 합니다.

"a"를 사용하면 에러가 발생합니다.

그림에서 c1은 적용이 잘 되었지만 c2는 빨간줄이 생기며 eclipse에서 오류가 발생을 알려주고 있습니다.

 

 

 

 

3. 정수형 (byte, short, int, long)

정수형과 실수형의 경우는 여러 가지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.

정수형의 경우 총 4가지가 있고 각 방식에 따라 표현 가능 범위가 정해져 있습니다.

정수형의 경우 int 가 표준형입니다. 

 

정수형 데이터 타입 길이 범위
byte 8bit -128 ~ 127
short 16bit -32768 ~ 32767
int 32bit -2147483648 ~ 2147483647
long 64bit -9223372036854775808 ~ 9223372036854775807

 

3-1. byte

b1은 byte의 범위 내 숫자이기 때문에 잘 적용되었습니다. 하지만 b2의 경우는 정해진 범위를 벗어났기 때문에 빨간 줄이 생기며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. 음수의 범위 또한 마찬가지입니다.

 

3-2. short

3-3 int

3-4 long

범위를 벗어난 long입니다.

 

 

 

 

4. 실수형은 (float, double)

 실수형은 소수점을 표현할 수 있는 표현방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
표준형은 double입니다.

실수형 데이터 타입 길이
float 32bit
double 64bit

 

 

위 그림을 보면 flaot f3 = 3.14; 부분에 오류가 발생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
이유는 double이 표준형인데 float에서 float에 대한 표현을 해주지 않아서 에러가 발생하였습니다.

쉽게 말해서 double로 설정해주었을 시 다른 특별한 설정을 안 해도 표준형이기 때문에 java에서 잘 처리하였지만

float의 경우 주의하여 사용하여야 한다는 것입니다.

 

 

위의 내용이 기본 데이터형(Primitive Data Type)입니다.

 

 

 

참조 데이터 형(Reference Data Type)

위의 기본형을 제외한 모든 타입이 참 조형입니다.

대표적으로 class, array, interface 가 있습니다.

 

 예시

위 그림은 문자열과 배열에 대해서 선언 해준 모습입니다.

 

 

 

변수 선언(Variable Declare)하기

변수 선언하는 방법!
  데이터 형 변수명(임의 지정 가능 하지만 유추할수 있게 네이밍 추천)
예시 String name

 

위 그림처럼 두 가지의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방법1은 선언(declare) 후에 변수 초기화(initialize)를 한것이고

방법2는 선언(declare)과 동시에 변수 초기화(initialize)를 해준것입니다.

 

 

 

 

초기화 & 할당,변경

선언후에 변수에 처음 값을 넣어주는것을 초기화라고 하며

다음에 바꿀때는 변수값 할당또는 변수값 변경이라고 합니다.

 

변수값 할당,변경 하는법

 

 

 

728x90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4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
글 보관함